오늘 아침에 기사를 보다가 감정평가사 이야기가 있더라구요.
전 제 직업에 나름 만족하는 편이지만, 그래도 정년 없는 감정평가사 이야기에 매력을 느껴서 되는 법이나 한번 볼까 해서 찾아봤어요.
이직을 준비하는 분들, 혹은 정년없는 전문직을 고민하고 싶으신 분들을 위한 포스팅입니다.
<감정평가사란 무엇인가?>
감정평가사는 부동산, 동산, 기업 자산 등 다양한 자산의 가치를 평가하는 전문직으로, 진입 장벽이 높은 편이지만 안정적인 수입과 직업적 위상을 갖춘 전문 자격직입니다. 아래에 자격 취득 요건, 난이도, 취업률 및 수입, 정년 및 전망을 정리해볼게요.
어려운 편입니다.
특히 1차와 2차 시험 난이도가 높고, 법률·경제·회계 지식이 폭넓게 요구되기 때문에 단기간에 합격하기 어렵습니다. 보통 합격까지 평균 2~3년, 길게는 4~5년이 걸리기도 합니다.
구분 과목 비고
1차 시험 | 민법, 경제학, 회계학, 감정평가관계법규 | 객관식 / 5월경 실시 |
2차 시험 | 감정평가이론, 감정평가실무, 감정평가 및 보상법규 | 논술형 / 8~9월경 실시 |
면접 | 실무역량 및 자질 평가 | 2차 합격자 대상 |
경력 연평균 수입 비고
신입 (~3년) | 4,000만 ~ 6,000만 원 | 대형 법인일수록 고소득 가능 |
중견 (5~10년) | 7,000만 ~ 1억 원대 | |
고경력 (~20년 이상) | 1억 ~ 2억 이상 | 개인 사무소, 대형 법인 파트너 등 |
보수는 실적 기반인 경우도 많아 개인차 큼. 수도권/대형 감정평가법인 소속일수록 보수가 높은 경향.
장점 단점
전문 자격직으로 사회적 인지도 높음 | 시험 준비에 많은 시간과 비용 필요 |
고소득 가능 (경력 누적 시) | 시장 진입 후 초기에는 소득 낮을 수 있음 |
정년이 사실상 없음 | 감정평가 시장 포화 우려 (특히 수도권) |
다양한 분야로 확장 가능 (부동산/기업/재산 분쟁 등) | 계속되는 공부와 실무 역량 요구 |
항목 내용
진입 난이도 | 매우 높음 (합격까지 평균 2~3년) |
합격률 | 2차 기준 약 10~15% |
수입 | 신입 4~6천만, 경력 시 1억 이상 가능 |
취업률 | 우수 (법인·공기업 중심) |
정년 | 없음. 개업 가능 |
추천 대상 | 꾸준히 공부할 수 있고, 부동산·법률·경제에 관심 있는 사람에게 적합 |
구분 일정 비고
1차 시험 접수 | 1월 중순 | 큐넷 홈페이지 (한국산업인력공단) |
1차 시험 시행 | 3월 초 ~ 중순 | 객관식 |
1차 합격자 발표 | 4월 중순 | |
2차 시험 접수 | 6월 초 | |
2차 시험 시행 | 7월 말 ~ 8월 초 | 논술형 |
2차 합격자 발표 | 10월 초 | |
면접 시험 | 10월 중하순 | |
최종 합격자 발표 | 11월 초 |
※ 매년 소폭 변동 있으니, 반드시 큐넷(https://www.q-net.or.kr)에서 확인 필요
감정평가사 시험은 일반 공무원 시험보다 난이도가 높아 전문 학원/인강 수강이 매우 권장됩니다.
학원/플랫폼 특징
랜드프로 (구 EBS 공인중개사) | 감정평가사 강의 전문. 체계적 커리큘럼. |
윌비스 한림법학원 | 법과목 강의 강세. 감정평가사 전용 패키지 운영. |
KG 에듀원 감정평가사 | 회계/경제 기본기 강의에 강함. 수험 커뮤니티도 활발 |
에듀윌 | 비교적 입문자에게 친절한 강의 제공 |
📌 추천 포인트: 입문자는 랜드프로 or KG에듀원, 법률에 강한 수험생은 한림법학원 추천
1차 시험 기준 (객관식)
과목 추천 교재
민법 | 민법강의 (정동윤), 이동기 민법 기초 |
경제학 | 황윤재 경제학, 맨큐 경제학 요약 |
회계학 | 정윤돈 회계학, 회계원리(생초보는 에듀윌 입문서도 무난) |
감정평가관계법규 | 감정평가법규 요약집 + 기출문제집 (학원 강의와 병행 추천) |
2차 시험 기준 (논술형)
월 내용
1~3월 | 1차 기본이론 (민법/경제학/회계/법규) |
4~6월 | 문제풀이 + 모의고사 + 1차 마무리 |
7~8월 | 1차 시험 응시 + 휴식 |
9~12월 | 2차 기본이론 (실무/이론/보상법규) 시작 |
감정평가사는 노력한 만큼 보상받는 자격직입니다.
어려운 길이지만, 장기적으로 안정성과 보수가 우수하고, 정년이 없다는 점에서 특히 추천할 만합니다.
요즘 평생직장은 없다고 하잖아요? 되기 쉬운 직업은 아니지만 그만큼 되고난뒤의 메리트도 확실히 있는 직업인거 같아요.
도전하는 모든 분들 화이팅입니다^^
2025년 서울 부동산 시장 전망: 공급과 수요의 균형을 중심으로 (1) | 2025.05.14 |
---|---|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완벽 가이드 (4) | 2025.05.14 |
네이버페이로 대한항공 비지니스 타기 꿀팁 (3) | 2025.05.14 |
하동 여행 완벽 가이드 – 녹차 향 따라 걷는 하루 코스 (1) | 2025.05.13 |
남해 힐링 여행지 추천 – 바람, 나무, 바다가 어우러진 쉼 (0) | 2025.05.13 |